50년간 우리나라 물가 서민의 음식 라면, 소주는 얼마나 올랐지?

지난 50년간 우리나라 물가는 얼마나 많이 달라졌을까?

 

한국물가협회에서 창립 50주년을 맞아 ’10월호 월간 물가자료’를 확인후 실제 가구가 소비를 위하여 구입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조사하여 대표품목을 선정하고 소비자 물가를 작성하여 얼마만큼 가격이 인상되었는지를  발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 나라 서민들 대표품목의 가격이 어떻게 변동되었는지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물가

 

 

우리나라 물가
우리나라 물가 Image by Agata from Pixabay

 

 

소비자물가지수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여 작성되는 지수총 소비지출 중 구입 비중이 큰 상품 458개 및 서비스 품목들을 정한 후 이를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한 수치입니다. 5년 주기로 가구의 소비구조 변화를 반영하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소비가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변화율을 말합니다.

 




50년간 생활물가 상승폭

 

물가상승률
물가상승률

 

 

10월 16일 발표한 한국물가협회 창립 50주년 ‘10월호 월간 물가자료’에 따르면, 서민의 대표 식품인 라면은 8배, 대표 술인 소주는 14배가 뛴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대략 8배 상승했습니다.

 

라면 가격은 약 50년 동안 8.20배, 국수는 1978년 1봉(900g)에 155원에서 2018년 잠시 하락하다가 코로나19와 러•우 전쟁 등으로 인해 2023년에는 2790원으로 18배 올랐으며, 소주 1병 가격은 1974년과 비교했을 때 14.4배 늘었습니다.




 

맥주 1병(500㎖) 가격은 1974년 235원으로 시작해 2023년 1580원으로 6.7배, 쌀 1킬로그램(㎏) 가격은 1983년 813원에서 2023년 4200원으로 5.13배 증가했습니다.

 

고추장 1봉지(500그램) 가격도 1978년 200원에서 2023년 5490원으로 27.45배, 된장 1봉지(500g) 가격은 1978년 150원에서 2023년 3750원으로 25배간장 1통(900㎖) 가격은 1978년 180원에서 2023년 1만150원으로 56.3배로 가장 크게 올랐습니다.

수산물 가격도 고등어 1마리 가격은 1998년 800원에서 2023년 4580원으로 7.63배, 오징어 3마리/1㎏ 가격은 1998년 600원에서 2023년 5400원으로 9배 급증했습니다.

 

 

화폐 가치
화폐 가치 Image by Megan Rexazin Conde from Pixabay

 

위기에 빛나는 금 투자

 

 

금의 역사 가치 특징 화폐 금괴 1Kg가격

 

 

1985년에서부터 2000년 초반까지 금시세는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2001년 9•11테러, 2003년 이라크 전쟁 등을 기점으로  금값은  상승하기 시작했고,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2008년 리몬브라더스 파산으로 달러가치는 하락하며 금값은 하늘높은 줄 모르고 상승하였습니다.

 

달러가 오르면 금값은 상대적으로 내려가고 경제위기가 올수록 달러 가격은 오르게 됩니다.




사람들이 안전자산으로 달러를 갖고 있으려고 하다보니 달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람들은 금을 시장에 팔게 되면서 금값은 뚝 떨어지게 되었고, 금은 인플레이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습니다.

 

2008년과 2020년 경기 침체 이후 금리 인하와 함께 금 가격은 연 25% 상승했으며 과거 경기 침체 시기 금 가격은 1990년대를 제외하면 12개월 이후 모두 15%에서 50% 가까이 올랐으며 24개월 이후에는 더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안전자산으로서의 금 선호와 더불어 주요국 기준 금리로 인한 시장 금리 하락이 상승 재료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