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째 역대 최저 혼인 건수, 이혼건수도 감소?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22년 혼인 건수가 2021년보다 감소하며, 남녀의 초혼 연령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게 나타나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고 합니다.

 

지난 2023년 3월 16일 통계청은 전국의 시·구청 등에 신고된 혼인신고서와 이혼신고서를 바탕으로 ‘2022년 혼인·이혼 통계’를 발표했는데 지난해 혼인 건수는 2021년(19만 2500건)보다 0.4%(800건) 줄어든 19만 1700건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이며 혼인 건수는 2012년부터 11년째 감소 중입니다.

 

또한 혼인 건수는 2019년부터는 4년째 역대 최소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1996년(43만 5000건)만 하더라도 40만건대 였으나, 1997년(38만 9000건)에 30만건대로 내려왔고 2016년(28만 2000건)에 20만건대, 2021년에 10만건대로 내려앉았고 1997년과 비교하면 반토막이 난 수준이라 합니다.




역대 최저 혼인 건수

 

혼인건수
혼인건수 Image by Clker-Free-Vector-Images from Pixabay

 

 

지난 10월에 발표한 경인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수도권 미혼인구(20~49세) 10명 중 6명은 부모와 동거하고 1인 가구는 10명 중 3명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층이 높을수록 혼자 사는 비중이 증가했습니다.

 

10명중 9명이 임금근로자이며 직업 선택 요인은 수입, 적성·흥미, 안정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된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일·직업(64.1%), 부모 도움(26.9%) 인 반면, 기혼 인구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일·직업(64.9%), 복합수단(26.4%), 부모 도움 (1.4%)으로 기혼은 부모 도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혼 안하고 혼자 사는 미혼 , 10년동안 3배 증가!! 삶 만족도는?

 

기혼과 미혼의 인식 차이

 

 

미혼과 기혼의 차이
미혼과 기혼의 차이 Image by Bluechip Media from Pixabay

 

 

1. 결혼과 자녀 계획  :  미혼 42.7%, 기혼 57.2% 의 동의로 기혼이 14.5%p 더 높음

2. 아침식사, 정기건강검진 실천율 : 기혼 > 미혼

3. 규칙적인 운동 : 기혼 < 미혼




4. 여가생활만족도 : 기혼 < 미혼

5. 실업률 : 기혼 < 미혼 (기혼과 3배 정도 차이)

 

6, 월평균임금 : 미혼 남자는  200~300만원 (44.1%)이 가장 많고 ,   300~400만원 미만(24.6%), 500만원 이상 (7.3%)인 반면 기혼 남자는  500만원 이상이 (33.9%)로 가장 많고, 300~400만원 미만(29.1%), 200~300만원 (14.1%)순 이었습니다.

 

 

결혼에 대한 견해 차이




23년 미혼남녀 중 ‘결혼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31.8%로  20년(33.6%)보다 1.8%p 감소했으며, 미혼 남자(39.6%)가 미혼 여자(22.3%)보다 17.3%p 높고, 기혼 남자(59.7%)는 기혼 여자(36.3%)보다 23.4%p 높아 미혼이나 기혼 모두 남자가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도 결혼자금 부족과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였습니다.

 

혼전 동거는 미혼 81.2%, 기혼 75.3%로 긍정적이며, 결혼하지 않아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도 41.7%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비중도 높아졌습니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미혼 42.7%, 기혼 57.2% 였으며 미혼 여자가 29.0%로 낮고, 기혼 남자가 63.7%로 높았습니다.

 

결혼식에 관해서도 미혼인구의 73.9%, , 기혼인구 80.4%가 과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공평한 가사분담은 미혼 86.0%, 기혼 68.3%으로 차이가 있었지만 과거에 비해 기혼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나 반대로 아내가 주로 해야 한다의 경우 미혼, 기혼 남자 모두 여자보다 2배나 높은 비중을 보여 아직까지는 변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2023년 세법개정안 자녀장려금 100만원 혼인공제 금수저 혜택 문제점

 

 

사회•경제적 성취 만족도는 미혼 29.9%, 기혼 40.7%로 기혼인구가 10.8%p 더 높았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불만도도 커졌습니다.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 이상으로 응답한 비중은 미혼 59.0%, 기혼 72.0%으로 기혼이 13%p, ‘상’은 미혼2.8%, 기혼 3.1%로 기혼이 0.3%p 로 나타났습니다.

 

흡연과 음주는 미혼이나 기혼 모두 증가 추세였으며 흡연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음주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이혼건수

 

이혼건수
이혼건수 Image by Mohamed Hassan from Pixabay

 

 

2022년 이혼건수는 9만 3,000건으로 2021년보다 8,000건, 8.3% 감소했으며, 인구 1,000명당 이혼건수인 조이혼율은 1.8건으로 2021년보다 0.2건 감소했다고 합니다.

 

혼인지속기간별 이혼은 4년 이하 18.6%, 5~9년 18.0%, 30년 이상 16.8% 순이며, 연령별 이혼율은 남자나 여자 모두 40대 초반이 가장 높았으며 남자는  1,000명당 6.9건, 여자는 1,000명 7.6건이었습니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경우도 지속적인 감소 추세라고 합니다.

 

이혼건수가 감수한 이유는 혼인 건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이혼건수도 더불어 줄어든 영향이었다고 하네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