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자살실태조사 진행 예방 보고서

보건복지부에서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제 11조에 따라 자살예방정책 및 서비스 등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의 의견을 파악하여 정책수립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2023 자살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자살실태조사는 5년마다 실시되고 있으며, 2013년, 2-18년에 이은 세번째 조사입니다. 자살실태조사는 자살관련 실태와 자살예방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파악하여 정책수립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는 국가승인통계 조사입니다.

자살실태조사 진행

1. 전국 만 19세 이상~75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합니다.
2. 조사대상 2,800가구(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구비례 고려)는 통계 전문가의 엄정한 표본 설계를 통해 선정되며, 선정된 가구에 면접원이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진행합니다.

3. 조사방법 : 면접원이 조사대상 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질문하고, 그 결과를 태블릿 PC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합니다.
4. 조사기간 : 2023년 8월 ~10월 까지 진행합니다.
5. 조사기관 : 조사의 주관 기관은 보건복지부이며 조사 기획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담당하고 한국리서치에서 조사를 수행합니다.

우울감
Masha Raymers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2853193/

2018년 자살실태조사 보고서

의료기관 방문 자살 시도자 실태조사는 전국 38개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자 1,550명에 대한 대면조사로 진행되었습니다.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는 2018년 심리부검면담에 참여한 자살 우족 121명의 면담을 바탕으로 자살사망자 103명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습니다.

심리부검은 자살 사망자 유족 진술과 기록을 통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 및 변화를 확인하여 자살의 구체적인 원인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입니다.

MZ세대 특징 가치관 금융 미코노미

 

< 2018 자살실태조사 결과>

국민의 자살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그동안 진행한 생명지킴이 교육과 자살위험 신호에 대한 공익광고 등의 영향으로 일반 국민의 자살 관련 지식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결과 자살 시도자 보호를 위해 개인 동의 없이도 자살예방기관의 개입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으며 79.1%가 동의 했고 , 54.9%는 1회만 자살시도를 한 경우에도 바로 개입이 필요하다고 답변했습니다.

적절한 개입 내용은 시도자 정보(연락처등)를 자살예방기관에 제공, 시도자 본인에 대한 정신건강의햑과 진료 등이었습니다.
의료기관 방문 자살 시도자 중 36.5%가 자살 재시도자이며, 자살시도시 52.6%가 음주상태 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조사대상 자살 시도자 주 ㅇ47.7%는 자살을 시도할 때 죽고 싶었다, 13.3%는 죽고 싶지 않았다, 39.0%는 상관 없었다고 응답하여 삶에 대한 양가감정을 보여주었습니다.

한국자살예방협회 바로가기

<2018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

실리부검 결과에 따르면, 자살사망자 1인당 평균 3.9개의 생애 스트레스 사건(직업 스트레스, 경제적 문제,신체건강 문제, 정신건강 문제, 가족관련 문제 등)이 자살 과정에서 순차적 혹은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살사망자의 92.3%가 사망 전 경고신호를 보였으나, 이중 77.0%는 주변에서 경고신호라고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살사망자 경고신호는 사망 3개월 이내의 근접 시점에 관찰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유족에 대한 조사 결과 유족의 19.0%는 심각한 우울상태로 파악되었으며, 자살사건 발생시 유족의 71.9%가 고인의 자살을 주변에 알리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주변의 충격, 자책감 등 때문인 것으로 답변했습니다.

자살은 예방 가능하다,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라 등의 인식개선을 위한 핵심메시지를 공익광고, 사회관계망(SNS)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자살시도자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련 제도의 개선을 추진하는데 필요성도 느끼게 되었다고 합니다.

자살시도자의 대부분은 사망전에 경고신호를 보낸다고 합니다. 좀 더 관심을 갖고 주변을 둘러봐야 할 것입니다.

자살예방 상담전화 1339번, 희망의 전화 129!!!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