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한글 공휴일 폐지 국경일 창제 이유 우수성 자음과모음

한글날훈민정음의 반포를 기념하여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해 지정한 한글창제 및 반포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5대 국경일이며 법정 공휴일이고 2023년은 제 567돌입니다.

한글날 한글 명칭

최초의 한글 명칭은 가갸날이며 한글날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된 것은 1928년 입니다.
1945년 까지는 10월 28일 한글날 행사를 치렀으며, 1946년 부터는 10월 9일을 기념하게 되었고 1949년 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1991~2005년 사이 동안은 한글날을 국경일 겸 법정 공휴일이 아닌 일반 기념일로 바꾸었는데 이유는 10월에 공휴일이 많아서 였다 합니다.
2006년~2012년 다시 국경일로 격상되었지만 공휴일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2013년 이후부터는 정식으로 공휴일이 되었습니다.
2020년 부터는 대체 휴일 제도가 한글날도 적용되기 시작합니다.

 

한글날 유래
오산시 블로그 참조 한글날 

한글과 한국어는 동일한가?

한글과 한국어는 다르며 한국어는 수천 년 전부터 존재했던 언어이고 한글은 500여년전 세종대왕이 만들어낸 문자로 서로 다른 것입니다.

북한에도 조선글날이라고 한글을 기념하는 날이 있으며 1443년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1월 15일을 삼았다고 합니다.

한글날이 오늘날과 같이 10월 9일로 정해지게 된 데에는 한글을 만드는 작업을 은밀하게 추진했기 때문에 실록에도 한글 창제와 관련된 기록이 나오지 않습니다.

1443년 (세종25년) 12월 초에 이번 달에 왕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나와 한글날을 정했다 합니다.

한국 한글날
출처 Freepik

한글 창제 이유

현대 기준 기본자음 14자와 기본모음 10자로 구성된 음소문자이며 음절문자적 특성을 지니기도 합니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했을 당시에 배우고 익히기 어려운 한자와 구별하여, 백성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글이라는 뜻에서 언문(諺文)이라고도 불렸으며 언문은 세종대왕이 처음 사용한 명칭입니다.

구한말에는 ‘나라의 글’이란 뜻으로 ‘국문(國文)’이라 불렀으며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한글’이라는 이름이 등장했고, 이것이 오늘날 한글을 가리키는 표준 명칭이 되었습니다.

주시경이 약 1912년 경에 저술한 《소리갈》(음성학)이라는 책에서 처음 한글을 쓴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태극기 상징 의미 역사 뜻 만든 사람 다는 방법

한글 자음 모음 글자수

1443년 훈민정음 창제 당시 자음과 모음을 합하여 총 28개 자음 (17자)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ㅿ, ㆁ ,ㆆ  모음 (10자)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로 구성되었습니다.

훈민정음 반포이래 한글은 많은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ㅿ, ㆁ ,ㆆ이 없이 총 24자를 사용중으로 지금의 글자 체계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ㄱ,ㄲ, ㄴ, ㄷ,ㄸ, ㄹ, ㅁ, ㅂ,ㅃ, ㅅ,ㅆ, ㅇ, ㅈ,ㅉ, ㅊ, ㅋ, ㅌ, ㅍ, ㅎ’ 이렇게 자음 총19자, 모음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ㅑ,ㅕ,ㅛ,ㅠ,ㅒ,ㅖ,ㅘ,ㅝ,ㅙ,ㅞ,ㅢ 총 21자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합친 국어 음운의 개수는 모두 총 40개입니다.

디지털 시대 한글 입력의 우수성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이 결합되는 문자로 디지털 시대에 가장 적합한 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글은 자음을 왼손으로 모음을 오른손으로 치기에 빠른 속도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으나, 한자나 일어는 같은 발음의 한자가 많을수록 원하는 글자를 빨리 찾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한글은 이러한 효울적인 문자 체계와 디지털 기기의 입력 방식이 맞물려 디지털 시대에 가장 빠르고 편리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가 된 것입니다.

한글의 우수성

1. 세종 대왕이 만든 글자로 전 세계에 유일하게 임금이 백성을 위해 직접 만든 글, 창제 원리를 밝힌 책
2. 누구나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글자

3. 알파벳으로 표현할 수 있는 소리는 수백개, 일본어 300여개, 한자는 400여개, 한글 24자로는 11,000여개의 소리를 표현
4. 다양한 감정과 느낌을 표현 (ex : 파랗다, 푸르다, 푸르스름하다,푸르뎅뎅하다, 퍼렇다 등등)

5. 자음과 모음으로 사람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들어 문자 체계가 뚜렷
6.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글

7. 세계적으로 인정 받은 문자이며 디지털에 적합한 글자

한글날이 얼마 남지 않은 이 시점에 한글이 체계적이고 우수한 글자이며, 세종대왕이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언문을 창제했다는 것이 더욱 감사할 뿐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