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축의금 얼마? 적절한 액수 알고 지내는 지인 8만원, 친한 사이는?

사회 생활을 하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급격히 늘어나는 비용이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논란이 많은 축의금일텐데요.

축의금은 얼마를 내는 것이 서로 맘 상하지 않고 가계 경제에 타격이 없는 금액이 될까요?

이 글에서 2023년 10월 26일 KB국민카드가 고객패널 ‘이지 토커’ 4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내용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축의금 적절한 액수

 

결혼식
결혼식 Image by Joshua Choate from Pixabay

 

 

2024년 새해가 밝아 왔습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새해벽두부터 챙겨야 할 경조사 비용이 장난이 아닌데요.

벌써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한숨부터 납니다.

언제부터인지 경조사 비용으로 3만원은 거의 사라지고 5만원도 참석하지 않을 경우나 취준생 일 경우 그 정도 뿐일겁니다.




2023년 축의금 적정 비용

 

축의금
축의금

 

30대 초반 경희씨는 3년전 결혼식에 1년에 한두번 연락하던 친구 은경씨가 남친과 함께 참석해 축의금 5만원과 식대가 한사람당 4만원인 식사를 하고 갔어도 찾아와 준 것만 해도 고맙게 생각했는데, 이번에 친구 은경씨가 청첩장을 보내왔다고 합니다.

그 후로도 1년에 한두번 안부만 하는 친구인 은경씨, 결혼식 축의금을 얼마를 하면 좋을지 고민인데 얼마가 적당할까요?

2023년 10월 26일 KB국민카드가 고객패널 ‘이지 토커’ 4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내용에 따르면 . .

 

2023년 세법개정안 자녀장려금 100만원 혼인공제 금수저 혜택 문제점

 

알고 지내는 직장동료, 친구, 지인 : 8만원 
친하게 지내는 직장동료, 친구, 지인 : 17만원

3촌 이내 : 90만원
4촌 이내 : 26만원




축의금을 더 내는 상황은 ?

 

연회장
연회장Image by Hans from Pixabay

 

 

1. 식사값이 비싼 결혼식장
2. 동반자와 같이 참석시
3. 결혼식 전에 식사 대접을 받았을 경우 

* 400명 연령대별 분표 : 20대 7%, 30대 45%, 40대 35%, 50대 11%, 60대 이상 2%

 

위 경우에는 추가로 좀 더 축의금을 낸다고 하네요.

 




2022년 축의금 적정 비용

 

 

1. 볼 꼴 못 볼 꼴 다 본 절친 : 20만원 
2. 당사자의 부모님을 뵌 적 있고 나를 안다 : 15만원

3. 주기적으로 만나는 친한 친구 : 10만원
4. 어느정도 친분 있는 사이 (ex : 직장동료) : 5만원




5. 1년에 한 번 볼까 말까한 사이 : 3만원 (NO 참석)
6. 연락 없다가 카톡으로 청첩장 보내는 사람 : 축하이모티콘

 

물가가 많이 오른만큼 축의금 액수도 차이가 좀 나는 것 같습니다.

평균적인 기준이 있으니 오히려 수월할 듯 하네요.

물론 위 기준에 따를 필요는 없이 본인 사정에 맞춰 정하고 서로 주고 받는데 부담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하는게 가장 좋겠죠.




 축의금 문화 꼭 필요한가?

 

 

외국의 결혼을 보면 우리나라처럼 봉투에 돈을 담아 주는 나라는 많지 않은거 같아요. 필요한 선물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축의금이 있는 나라는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 아시아 몇개국 정도인거 같습니다.

 

그럼, 축의금은 있어야 할까요?  없는것이 나을까요? 

축의금 찬성 이유로는 축하 표현 하기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결혼식 비용이 많이 드니 비용 부담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어 축의금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축의금 반대 이유로는 오랜 문화여도 사람들이 불편함을 느끼며, 예전과 달리 스몰웨딩이나 소규모로 비용 절약, 진심으로 축하하는 마음으로 참석 등의 이유로 축의금이 필요하지 않다고 합니다.




결혼에 대한 MZ세대의 생각은 많이 변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축의금에 관해서는 30년 전이나 지금이나 불편하기만 한 것은 맞는 듯 합니다.

우리나라는 한 마디로 정의하자면 ‘정의 문화’ 라고 하죠.

축의금의 액수가 많고 적고가 아닌  그 사람이 참석해 진심으로 이 자리를 축하해 줬는지, 이 자리를 위해 본인의 시간을 투자해 참석해 줬다는 것에 감사하는 마음이 크다면 서로 서운한 감정도 없고 즐거운 결혼식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