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하면 당한다 손해 착한 아이 증후군 착한사람 콤플렉스 특징 자가테스트 극복 방법

착하게 살면 복이 온다는 말처럼 한때는 착하게 사는게 좋은거라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곳곳에서  착하면 당하고 손해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착함을 이용하거나 무시하거나 맞먹으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성인이 되어서도 감정을 숨기고 좋은 것이 좋은 것이라는 생각으로 스스로 얽매이는 착한 아이 증후군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착한 아이 증후군이란?




착한 아이 증후군이란 상대방에게 버림받고 싶지 않고 사랑받고 싶어서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억압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착한 사람이라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 애쓰고 노력하며 남의 말을 잘 듣는 것이 착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강박관념이 되어 버리는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착한 사람 컴플렉스라고도 합니다.

아이들
아이들사진: UnsplashJon Flobrant

착한 아이 증후군 원인

1. 매우 엄격하거나 도덕성을 강조
2. 강박적인 교육관

3.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
4. 부모가 원하는 행동에만 애정표현
5. 자녀 스스로 사랑을 받기 위한 의존 욕구

 

MBTI 4가지 유형 특징 및 궁합

착한 아이 증후군 특징

1. 친절하려하며 화가 나도 숨기는 경향
2. 싫다는 표현, 무리한 부탁도 거절 못하기

3. 결정을 스스로 못하고 타인의 의견을 묻기
4.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나 소문에 예민하며 적극적인 해명

5. 일이 끝난 뒤에도 잘못 되었을까 전전긍긍
6. 자신의 잘못이 아니어도 갈등이 싫어 먼저 사과
7. 약속이나 규정은 꼭 지키려 하기




착한 아이 증후군 자가테스트

착한아이증후군 자가테스트
착한아이증후군 자가테스트 대상그룹 건강한 소식지 자료 참조

착한 아이 증후군 극복 방법

 

1. 잘 거절하기 : 완곡하고 부드러운 표현으로 거절, 내가 거절한다고 해도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되뇌이기
2. 자기 생각과 감정을 표현 : 짜증과 화, 불편한 감정을 이야기 해도 괜찮다 하며 칭찬보다는 격려를 해 주기
3. 뭐든 배우기 : 간단하게 배울 수 있는 시도 자체에서 다양한 시각을 경험 살면서 내가 하구 싶은 일을 하면서 살기
4. 혼자 하는 운동 늘리기 : 명상, 요가, 등산, 달리기, 걷기 등 내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시작 다른 사람은 내가 무얼 해도 큰 관심이 없다고 생각하기
5. 규칙적인 생활 : 1주일 단위 계획짜고 약속은 미리 잡아 불시에 계획이 깨지는 것 방지

 

착하면 당하고 손해인걸까?

착한 아이 증후군 바로가기
사회는 정글이라고 합니다. 조금이라도 약아야 하고 눈치도 있어야 하며 아무리 일을 잘하고 성실하더라도 라인을 잘 타야 합니다.

개개인의 감정보다 능력치를 최대한 발휘하고 냉정해야 하며 적당히 융통성이 있어야 합니다.

착하고 선하기만 한 것이 아닌 착한 걸 가지고 이용당하지 않느냐 덜 상처 받느냐가 중요한 것입니다.

네. 사회에서는 착함이 이용 당할 수 있고 손해만 볼 수도 있으므로 적당한 상처 받기를 원한다면 착하기만 하면 안 되는 것입니다. 

착한 아이 증후군의 착한 아이는 ‘선함’이 아닌 다른 사람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 나쁘다고 생각한다 합니다.

데이트 폭력, 르벤지 포르노, 원하지 않는 성관계의 피해자가 주로 이러한 기질이 있으며 거절했을 경우 상대방의 나쁜 평가가 두려워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거절하거나 싫다는 표현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게 자존감도 높이고 극복 할 수 있게 도와야 하겠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