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 채무 금융교육 필요성, 빠를수록 남보다 한걸음 더 나아간다!!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있어요. 어릴 때 몸에 밴 버릇은 죽는 날까지 고치기 힘들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을 정도로 어렸을 때부터 습관을 잘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에요.

요즘은 대부분의 가정이 자녀가 많아야 한명 아니면 두명 정도인데 그러다보니 어렸을 때부터 금이야 옥이야 귀하게 자녀들을 키우게 되면서 경제적 어려움 없이 성인이 될 때가 많아요. 대다수의 많은 아이들이 금융교육 즉 용돈 관리나 지출 내역에 대한 개념이 약하다는 것이죠.

성인이 되어도 어머니나 아버지에게 월급을 맡기고 용돈을 타는 직장인도 많은 것이 학생 때부터 스스로 알고 있는 정보가 부족하다는 생각에 부모님이 관리하는게 당연하다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저축이나 채무에 관한 금융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금융교육 남보다 한발 빠르게 !!

 

1. 저축에 관한 금융교육

 

저축
금융관리 저축 Pixabay로부터 입수된 OpenClipart-Vectors님의 이미지 입니다.

 

2024.01.01일부터 시행되는 미성년 청약통장을 요즘 부모들은 생일에 맞춰 많이 개설해 주고 있으며, 또한 초등학생 자녀에게 주식계좌를 개설해 세뱃돈이나 용돈으로  주식을 사고 투자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과자를 먹으면서 과자 회사의 주식을 매입 한다던가,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을 보면서 디즈니 주식을 산다던가 하면서 애들이 지루하지 않게 스토리를 알려주고 회사의 성장 가능성에 관해 재미를 가질 수 있도록 알려주는게 금융 교육에 더 바람직할 것 같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해요.

특히 주식의 장기투자를 통해 또 다른 경제교육을 배움으로 금융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부터 거부감을 없애는 것도 목적이라 합니다.

 

미성년 청약통장 가입나이, 29세면 만점 청약 1순위!!

 

채무에 관한 금융교육

 

직장인 은호씨는 월급이 300만원인데 생활비 150만원, 월세 50만원, 학자금 대출 상환 30만원, 애인과 데이트 할 때나 친구들에게 부러움 받을 수 있는 외제차를 할부로 70만원에 계약을 했어요.

생활비를 좀 줄이면 충분히 가능할거라 생각했는데  휘발유값, 자동차세, 자동차보험료 등 유지비 뿐만 아니라 애인과 데이트시 차량으로 멀리 이동 하다보니 기존에 소소히 나가던 비용도 훨씬 더 늘어나게 되고. .  현재는 마이너스 대출, 신용 대출 등으로 악순환이 반복 되면서 철저하지 못한 지출 관리와 채무에 반성하며 자동차를 팔까 심각하게 고민중이라 합니다.

직장인 현우씨는 5년전 금리가 저렴할때 부동산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주변에서 2배 가량 집값이 상승했다는 얘기를 듣고 최소한의 생활비만 쓰고 갚으면 될 듯해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집을 샀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대로 낮았고 ‘집값이 급등하면서 지금이 제일 싸다, 지금 아니면 내 집 마련은 더 어려워질 것이다’라는 패닉바잉 심리가  퍼져있어 꼭 사야된다는 심리적 압박감도 들었다고 해요.

3년여의 거치기간 이후 금리가 계속 오르고 일정기한이 지나면 원리금 상환을 해야 한다는 점도 생각 못한채 . .  그 전에 적당히 수익을 내고 매도를 해도 큰 돈을 벌 수 있을거란 생각도 있었고, 금리가 오를수도, 집값이 하락할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 못 했으며 전세 가격도 하락하다 보니 현재는 숨이 막힐 지경이라 하네요.

하루가 다르게 매매가는 뚝뚝 떨어져 급매로 내놔도 보러오는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금융교육 필요성

 

금융교육
금융교육 Pixabay로부터 입수된 Peggy und Marco Lachmann-Anke님의 이미지 입니다.

 

금융투자협회 학습시스템 바로가기

 

금융교육의 필요성이란 은호씨나 현우씨 사례에서 보듯 미래에 다가올 재무문제에 현명하게 대비하고, 슬기롭게 대처하려면 금융교육을 통해 생애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재무 문제들을 예상하고, 이에 대한 계획을 세워 미리 준비할 수 있으며 금융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미리 분석해 볼 수 있기에 미래에 닥칠 위험을 예방하거나 현명하게 대처 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인이 될 때까지 돈을 어떻게 쓰고 관리해야 하는지 금융교육을 받은 경험이 거의 없기에 가정이나 직장 같은 곳에서 경제와 금융 역량을 배우게 되다 보니 주변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차이가 나고 나이가 들수록 격차는 더욱 커지게 되는 거예요.

그렇기에 금융 이해력이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이며 복리가 왜 중요한지, 계약의 약관을 꼭 읽어봐야 하는지 등 단순히 아는 것이 아닌 금융에 대한 태도와 개인의 금융 행동 역량을 갖춰 돈 걱정 안하고 살 수 있는 금융 웰빙이 필요한 것입니다.

 

학교에서 금융 교육이 필요한 이유

학교에서의 금융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금융 교육이 단순한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닌 사회 생활에서 수많은 실수를 저지르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고, 특히 저소득층일 경우 제대로 된 금융 교육을 받을 기회가 일반인보다 더 적기에 또다른 악순환이 반복되지 않게 이들이 가장 금융 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자신의 수준을 정확히 알아야 목표도 세울 수 있기 때문이에요.

 

마치며 !!

이 글에서는 금융교육의 필요성에 관해 나이가 어릴수록, 가정이나 사회와 학교에서 처음부터 금융 교육을 어떻게 알려주느냐에 따라 저축과 채무를 어떻게 관리하고 계획 또는 예방 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수준을 정확히 알고 목표의식을 뚜렷이 한다면 앞으로의 삶은 하루하루가 다를 것 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