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신비 의미 민속신앙 신화 신성한 역할 3가지

물은 화학적으로는 산소와 수소의 결합물이며, 생물이 생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색·냄새·맛이 없는 액체입니다. 물은 생물체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물은 우리몸 체중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물에 관해 의미와 민속신앙에서의 연관성에 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물 없는 생물의 생존은 생각할 수 없기에 인류 문명도 하천을 중심으로 발달했습니다. 지구 표면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물은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었다가 다시 응축·집적되어 지표면에 내리는 순환을 거듭하면서 지구상의 기후변화와 지각 변화의 주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물
Image by rony michaud from Pixabay

물의 의미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탈레스(Thales)는 ‘물이 만물의 근원’이라 하여 일원설(一元說)을 주장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만물의 근원은 물 · 불 · 공기 · 흙이라고 하는 4원소(四元素說)를 주장할 정도로 인류는 물의 존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왔습니다.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물질 중에서도 물은 생물체 중량의 70∼80%를 차지하며, 많은 경우에 95% 정도를 차지하는 것도 물은 생물체에 매우 중요한 성분입니다.

설탕은 과연 우리몸에 100% 안좋은 것일까?

물은 신진대사에서 생긴 노폐물을 용해시켜서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뿐 아니라, 체내의 갑작스러운 온도를 낮춰 주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합니다.
또한 인류 문명이 큰 하천을 중심으로 발달하게 된 까닭도 인체가 물을 필요로한다는 기본적인 필요성 외에도 농경과 산업활동에서 물이 필수불가결한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바닷물 · 강물 · 지하수 · 빗물 · 온천수 · 눈 · 얼음 · 수증기 · 안개 등의 상태로 존재하며, 지구 표면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어 지각이 형성된 이래 지구 표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렇듯 인류의 생활과 물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기 때문에, 물을 잘 이용하고자 하는 인류의 노력은 끊이지 않고 계속되어 왔습니다. 그렇기에 물에 관련된 민속신앙과 설화 · 신화가 많이 나온 것도 당연한 일로 생각됩니다.

물
Ray Piedra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1556381/

설화 · 민속신앙에서 나타나는 물

우리나라 민속신앙에서의 물

1. 천년나무와 산수화물: 한국 민속신앙에서 천년나무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져 이를 존경하고 경외합니다. 이러한 나무는 종종 물의 근원으로 자라며, 이때 물은 생명력과 정화의 상징으로 쓰입니다. 물이 흐르는 곳에서 자라는 천년나무는 물의 신성성을 상징하며, 민간 신앙과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물신과 원시물: 한국 민속에는 물신이나 원시물에 대한 신앙과 관습이 많습니다. 물신은 강, 호수, 샘물 등에 거주하는 신으로 여겨지며, 물신에게 제사와 예배를 드려 비를 간청하고 풍작을 기원하는 관습이 있습니다. 원시물은 물이 깨끗하고 신성한 물질로 여겨져 미혹이나 저주를 제거하고 정화하는 역할로 사용됩니다.

3. 담터의 신선물담터는 물이 흐르는 곳으로, 한국 민속에서는 신선물이라고 불리는 물을 담터에서 얻는 것이 중요한 의식으로 간주됩니다신선물은 신성하다고 여겨져 가정 내에서 사용되며, 종교적 의미와 함께 정화와 행운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 바로가기

우리나라 신화에서의 물

1. 단오제와 단산물: 단오제는 한국 신화에서 어린 아이를 의미하며, 매년 5월 5일에 창포에 머리를 감고 옷을 물에 빨아 단오제를 물 속에 놓아 바다신에게 바치는 관습이 있습니다. 이는 어린 아이의 순백함을 상징하며, 물을 통해 새로운 시작과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2. 청룡과 호랑이 신화: 한국 신화에는 물과 관련된 청룡과 호랑이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청룡은 강을 지키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지며, 강물을 조절하고 비를 내린다고 믿어졌습니다. 호랑이는 물이 없는 곳에 물을 찾아오는 존재로 여겨져 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연의 균형을 나타냅니다.

3. 우물파는 원숭이 신화: 한국 신화에는 우물을 파내는 원숭이의 이야기도 있습니다. 원숭이는 어느 날 갈증에 시달려 물을 찾다가 우물을 파내고, 이로써 물이 나와 인간들의 생활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물의 중요성과 함께 물이 생명을 지탱하고 발전시킨다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이러한 예시들은 한국 민속신앙과 신화에서 물의 역할과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주며, 물이 문화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물은 지구상에서 생명을 지탱하고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자원 중 하나로, 그 유래와 의미는 인류의 역사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구의 물은 원시적인 바다에서 시작하여 강, 호수, 강물, 지하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모든 생물체의 생존과 번성에 기여합니다. 물은 삶의 기호와 활력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많은 문화에서 순수함, 정화, 신성성과 연관 지어집니다.

물은 또한 변화와 성장의 상징으로도 나타납니다. 이집트 신화에서 나일강의 홍수는 땅을 비옥하게 만들어 농작물의 성장과 풍요를 가져오는 축복으로 여겨졌다 합니다. 마찬가지로 중국 신화에서는 홍수 이야기를 통해 자연의 순환과 조화를 강조하며, 물은 생명의 원천으로 인식됩니다.
이러한 신화적인 이야기는 물의 다양한 역할과 힘을 나타내며, 인간은 물의 예측할 수 없는 의미에 대한 경외심과 존경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