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어린이가 더 위험한 이유 합병증

중국에서 유행 중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확산세가 심각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11월 4주 270명 감염으로 최근 한달새 약 1.6배나 증가했으며 대부분 1~12세 소아 환자가 81%를 차지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특히 항생제를 써도 잘 듣지 않는 내성환자에 대한 치료제 기준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갖추는데 이 글에서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무엇이며 예방법, 치료제 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질병관리청 자료 참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소아•청소년 연령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폐렴으로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특징비정형 세균성 폐렴으로 자기복제를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유기체이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게놈 구조(0·8 Mbp)를 갖고 있으며 세포벽이 없고 매우 천천히 자란다고 합니다.

연중 발생하기는 하지만, 3~7주년 주기의 유행을 갖는 폐렴으로 주로 늦가을 ~초봄에 유행하며 가장 최근 유행은 2019년 발병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어린이 환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배 증가했으며, 현재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Image by Victor Ramos from Pixabay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경로

유치원을 갔다 온 A군은 갑자기 기침과 콧물 가래 등 증상이 있어, 감기약을 먹었지만 증상이 점차 심해져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결과 폐렴 소견을 보였고 구토와 설사 증세도 보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으로 진단 받고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경로는 대부분 환자의 기침이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의 비말 전파,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집단시설이나 가족 사이에서 전파되며 증상이 발생후 20일까지 전파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증상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증상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증상 잘병관리청 자료 참조

 

 

잠복기는 1주~4주까지 기간을 가지며, 초기에는 감기 증상이 나타나는데 두통, 콧물, 인후통 발열 증상이 나타납니다.

보통 감기는 기침이 1주 정도 지나면 증상이 나아지는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기침이 2주 정도 악화되다 발병 3~4주 정도시에 나아지게 된다 합니다.

증상이 악화되면 폐농양, 폐기종, 기관지 확장증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호흡기 증상 이외 구토, 복통, 피부발진, 뇌수막염, 뇌염, 심근염, 관절염, 가염, 용혈성 빈혈등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 및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중복 감염되면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어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감기인줄 알았는데 축농증? 차이점 부비동염 원인 증상 자가치료 만성화 방지팁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예방법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예방법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예방법 질병관리청 자료 참조

 

1.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2. 기침이나 재채기시 입과 코를 옷이나 손수건 사용해서 가리기

3.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4. 호흡기 증상 시 진료 및 집에서 휴식

5. 증상이 있을시 유치원, 학교 등 등교 및 등원 자제

6. 환자와 수건, 물컵 등 구분하여 사용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치료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예방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예방 Image by Drumband5 from Pixabay

 

 

구강과 호흡기에서 검체를 채취해 PCR 검사를 통해 진행하며 치료제는 마크로라이드계, 퀴놀론계 항생제를 투약하는 방식으로 7일~14일 정도 소요된다 합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합병증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확산세도 심각하지만 현재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 환자가 늘고 있다는 것이 가장 문제라 할 것 입니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된다면 폐가 쪼그라드는 무기폐, 흉막삼출(폐의 흉막에 체액 성분이 스며나오는 증상), 기흉(폐에 생긴 구멍으로 공기가 새면서 늑막강 안에 공기가 차는 질환) 과 같은 다양한 폐 합병증은 물론, 스티븐-존슨 증후군(피부병이 악화된 상태로 피부의 탈락을 유발하는 급성 피부 점막 질환), 수막뇌염(수막염 및 뇌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 심근염(심장 근육에 염증 세포가 침윤한 상태)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