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변덕 양가감정 난 어떻게 해결했을까?

어떤 대상에게 서로 상반된 감정 즉 마음의 모순 또는 마음의 변덕 양가감정을 아시나요?

어떠한 결정을 할 때 우리는 동시에 불안과 기쁨의 상반된 감정을 느끼게 되는데 이 상반된 감정으로 인해 당황하기도 하시지 않나요?

이러한 양가감정은 우리 일상에서 자주 경험하는 현상 중 하나로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이며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이라는 것입니다.

 

마음의 변덕 양가감정

 

 

양가감정 슬픔과 기쁨
양가감정 슬픔과 기쁨 Image by Gerd Altmann from Pixabay

 

양가감정은 우리가 하나의 상황에 대해 동시에 상반된 감정을 느끼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요인 즉 개인의 가치관, 경험 사회적 영향 등에 의해 생겨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양가감정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간의 특성이며, 선택의 어려움이나 모순된 상황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또한 주변 사람들이나 사회적 기대에 따라 양가감정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양가감정 예시

 

결혼식에서의 부모 곁을 떠나는 신부를 보며 느끼는 친정 부모님은 슬픔과 이별의 감정과 동시에 자식의 행복한 결혼을 축하하는 기쁨의 감정을 느끼기도 하며, 이직을 결정할 때 새로운 일자리의 가능성과 성장 기회로 인한 기쁨과 현재의 직장에서의 안정과 친밀한 동료들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으로 고민도 합니다.

둘째라는 이유로 언니와 동생에 치여 항상 양보해야만 했던 그 시절 부모님에 대한 원망이 나이들어 결혼해 보니 자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 주신 그들의 삶에서 그 당시의 상황에 대한 이해와 고마움이 묻어나기도 하며, 생각보다 좋은 성적을 받을 때의 기쁨과 열심히 공부했는데 실수든 운이든 나쁜 성적을 받아 실망과 슬픔이 교차되기도 합니다.

때론 집안에 소홀한 남편에 화가 나서 이혼 생각이 절로 들다가도 퇴근 후 돌아온 남편의 지친 모습에서 가족을 위한 헌신이 느껴지면 안쓰러운 마음으로 잘해줘야지 할때의 감정들이 자연스럽게 하루에도 몇번씩 바뀌기도 합니다.

 

 

하고 싶다 할 수 있다 뭐가 다르지?

 

프로이트 양가감정

칭찬
칭찬 Image by Graphics@ HandiHow from Pixabay

 

프로이트는 양가감정을 인간의 심리 구조를 인식적인 의식, 선의적인 부분인 상실자와 양심적인 부분인 상실자로 나누어,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양가감정을 상실자와 양심자 사이의 갈등으로 설명하였습니다.

프로이트의 양가감정은 어떤 사람이 자신의 친한 친구에게서 칭찬을 받아 기쁨을 느끼면서 동시에 그 친구에 대한 부러움과 질투를 느끼게도 합니다.

이때, 칭찬을 받아 기쁨을 느끼는 것은 양심자인 상실자의 감정이고, 부러움과 질투를 느끼는 것은 상실자와 양심자 사이의 갈등으로 인한 양가감정이라고 프로이트는 말합니다.

프로이트는 양가감정이 어린 시기의 경험과 충돌로부터 비롯된다고 주장하면서 어린 시기에 상실자와 양심자가 서로 다른 욕구와 요구에 부딪히는 경험을 하면, 이후에도 양가감정을 경험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양가감정은 현실과 이상적인 원칙 사이의 갈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먹기를 원하는 음식을 먹고 기쁨과 만족감을 느끼지만, 동시에 건강을 생각하여 자제해야 한다는 슬픔과 양심의 갈등을 경험할 수도 있다는 입니다.

우리는 양가감정을 느낄때마다 내가 변덕스러운 사람이 아닐까, 아니면 질투심이 심하거나 나쁜 사람이 아닐까 하는 혼돈에 빠지기도 하는데 해결 방법은 없는 걸까요?

 

양가감정 대처 방법

 

본인 스스로 양가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각각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아 감정의 조절에 도움을 주며, 각각의 감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황을 다양한 관점에서 판단하여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상황을 바라보고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휴식과 수면, 균형 잡힌 식습관 등을 유지하여 양가감정을 조절하는데 지속적인 자기 관리를 함으로써 양가감정이 자연스럽게 공존하는 감정임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 할 것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