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커머스 홈쇼핑 합리성 성장 가능성 단점

라이브커머스의 가장 큰 특징은 실시간 방송을 통해 구매가 이뤄지는 상호 소통이라 할 것입니다. 방송이 시작되면 소비자는 방송의 진행자에게 채팅을 하고 궁금한 것을 묻고 진행자는 소비자의 질문에 바로 답변을 하면서 상호 소통을 하는 것입니다. 게다가 다른 구매자들도 방송을 보면서 자유롭게 글을 남기는 형태라 물건의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동안의 온라인 쇼핑은 상품의 정보를 글이나 사진과 설명으로만 확인이 가능한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였다면 라이브커머스는 온라인 쇼핑의 단점을 보완하여 생동감 있게 물건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라이브커머스에 입점한 사업자는 누구든 손쉽게 진행하고 상품 구성 및 판매의 스팩트럼이 넓고 제품 소개뿐만 아니라 일상 공유, Q&A, 현장 이벤트 등 다양한 시도가 가능합니다.
활발한 소통이 바로 라이브커머스이며 소통을 통해 시청자가 제품 소비자로 바로 전환하기도 하는 것이 바로 라이브커머스 시장이라 할 것입니다.

라이브커머스 합리성

1. 원하는 물건을 할인 특가 제공, 놓은 할인율
2. 최저가에 구매, 저렴한 가격
3. 매장 방문 없이 영상을 통한 정보 확인
4. 편리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플렉스티비 인터넷 개인 플랫폼 1인 라이브 커머스

홈쇼핑업계의 장기적인 불황

국내 홈쇼핑 4개사의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 실적이 나란히 악화되었습니다.
TV시청 방송 인구 감소 및 송출 수수료 비용 부담으로 인해 방송 매출 비중이 높은 롯데와 현대 홈쇼핑 매출이 다른 업체에 비해 하릭폭이 더 큰 편이라 합니다. 방송송출료는 2018년 46%에서 지난해 65%까지 확대됐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홈쇼핑업체들이 탈 TV를 위해 TV의존도를 줄이고 모바일 채널을 확대하고 있으며 캐릭터 사업을 확대하는등 신성장동력 발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롯데홈쇼핑의 벨리곰, 현대홈쇼핑의 라이브커머스 쇼핑라이브, GS의 샵라이브, CJ온스타일은 샤피라이브를 선보이며, TV와 모바일 두 채널 동시 고객 확대에 힘쓴다고 합니다. 모바일과 데이터 방송을 비롯한 MZ세대와의 접점을 찾을 수 있는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입니다.

라이브커머스 확대 성장 가능성

1.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컨텐츠의 확산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보편화
2. 24시간 사용자 옆에 붙어있을 수 있어 TV 대비 노출도가 커지고 높은 접근성
3. 방송송출 수수료는 3%~10% 수준의 현격히 낮은 책정료

4. 방송사가 아닌 플랫폼을 통해 직접 동영상을 송출하고 실시간 채팅 및 스토어 직접 주문으로 콜센터를 대체하기 때문에 송출 수수료나 콜센터 비용 등이 수반되지 않음
5. 통상 이커머스 구매전환율이 0.3~1% 수준에 반해 라이브 커머스의 구매 전환율은 5~8% 수준으로 높은 편
6. 진행에 있어 자유롭고 방송에 참여한 시청자들의 실시간 소통으로 좀 더 입체적인 정보를 통한 구매 결정
7. 거대 플랫폼을 기반으로 상품을 태깅하고 URL 공유 등의 부가 기능 또한 구현할 수 있어 인터넷 상에서 바이럴 되기에 유리한 조건
라이브 커머스는 TV 홈쇼핑보다 비용은 상대적으로 적게 쓰면서 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게 된 것입니다.

라이브커머스 주유입고객

라이브 커머스의 주요 고객으로는 실시간 모바일 소통에 거부감이 없는 MZ세대로 가격적 혜택을 잘 인지하고 있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트렌디한 아이템과 이벤트’ ‘특정 제품에 한해서 트렌디한 브랜드의 스테디셀러나 신제품에 대한 관심이 라이브 커머스 유입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라방바 데이터랩이란?

라이브 커머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플랫폼입니다. 수집된 데이터를 랭킹으로 전시하고 카테고리 별 방송 정보, 매출액, 조회수, 판매량, 판매 상품, 전환율, 인구 특성 등 라이브 커머스 관련 모든 지표들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무료 서비스인데도 제공되는 데이터와 기능이 상당히 훌륭하다 합니다. 성공사례 분석, 경쟁사 및 경쟁제품 분석도 이뤄지며 라이브 커머스 초심자라면 꼭 가입해야 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네이버
네이버https://www.naver.com/

빅테크플랫폼이란?

대한민국 대표 빅테크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각각 ‘네이버 쇼핑라이브’, ‘카카오 쇼핑라이브’라는 이름으로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카카오는 폐쇄형, 네이버는 개방형 라이브커머스를 전개합니다. 카카오는 철저히 내부적으로 관리된 라이브 콘텐트만을 방영하며 카카오는 철저히 내부적으로 관리된 라이브 콘텐트만을 방영합니다.
네이버는 자유로운 방식으로 판매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며 제품 선정과 제품 판매 형태 모두 판매자의 몫입니다.스마트 스토어 새싹 등급 이상, 쇼핑 윈도우 등급 제한 없이 라이브 커머스가 가능합니다.

라이브커머스 단점

1. 미리 계획하고 기업 관리 아래 기획된 콘텐트가 아닌 이상, 상품 품질과 가격에 대해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기 어렵습니다.
2. 개인 사업자가 자유롭게 방송을 시작해 물건을 판매하는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인 형태는 어떠한 사전 점검도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판매합니다.
3. 아직 미비한 인지도를 지닌 것으로 온라인 쇼핑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2% 수준으로 아직 비교적 낮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4. 네이버와 카카오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소수 플랫폼으로 집중되는 한계점이 많습니다.

전자상거래 Amazon도 라이브 커머스 도입에 적극적 패션 및 미용 업계에서도 라이브 커머스가 활용되고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의 라이브 커머스도 인기입니다.

Leave a Comment